코스피에 상장되어져있는 ETF 중

S&P500 추종하는 ETF가 있다.

 

대표적으로 내가 투자하고 있는

RISE S&P 500이 있다.

이 ETF는 환노출이다.

즉, S&P500지수 뿐 아니라 환율 변동에 따라서도 가격이 변한다.

 

그리고,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VOO도 있다.

그럼 이 둘의 ETF는 수익률이 거의 비슷해야한다.

왜냐면 RISE도 환노출이니까.

만약 환헷지였으면 수익률 차이가 벌어지는게 당연했을거다.

환헷지면 달러 환율이 반영이 안되어 있으니까.

 

그럼 실제로 수익률이 비슷한지 보자.

 

비교는 RISE가 상장된 21년 4월 8일 기준으로 해봤다.

이 당시 1달러 기준 1,116.4원이었다.

이렇게 보니 달러가 정말 많이 올랐구나..

 

그리고 1월 31일 장마감 기준 RISE ETF는

19,235원이다.

그럼 최초 10,000원에서 시작하였으니 약92%의 수익률을 보였다.

 

그럼 VOO는

21년 4월9일 378.25달러

25년 1월 31일 553.33달러

약 46%의 달러 기준 수익을 보았다.

 

하지만 25년 1월 31일 기준으로

달러는 약 1,457원으로

21년 4월 8일보다 약 30%나 더 올랐다.

 

그럼 결론적으론,

1.46 x 1.30 = 1.91로 원화기준 약 91%의 수익률을 보였다.

 

예상했던대로 둘의 수익률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한국상장 해외 ETF는 수익의 15.4%를 세금으로 낸다.

또한 금융소득 2천만원을 넘어가게되면 종합소득으로 과세됨에 유의하여야한다.

 

해외ETF 직접투자는 수익금 250만원에 대해 비과세이고

250만원을 초과하는 수익에 대해 22%를 세금으로 부과한다.

그리고 아무리 수익이 많이 발생해도 분리과세임으로 22% 세금을 내면 된다.

 

연수익 833만원 기준으로,

그 이하이면 해외상장 ETF가 유리하고

초과하면 국내상장 ETF가 절세에 유리하다.

 

또한 연수익 2000만원이 넘어가면

국내의 경우 종합소득세로 넘어감으로

분리과세인 해외상장 ETF가 유리하다.

 

 

 

 

 

 

'호기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 100과 S&P500 연간 수익률  (0) 2025.02.02
25년 건설안전기사 시험 일정  (0) 2025.01.25
점점 따뜻해지는 겨울  (0) 2025.01.25

나스닥 100과 S&P 500의 연간 수익률을 알아보장

 

일단 나스닥 100 수익률

40년 연평균 13.7%(복리)로 올랐다.

역시 나스닥은 신이다.

40년 동안 1년 수익률이 고작 7번 마이너스이다.

2000~2002년 IT 버블 붕괴 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2018년 트럼프 무역전쟁 때

2022년 코로나로 인해 주가가 급등한 것에 대한 반작용으로 인해 마이너스를 보였다. 

 

그 다음 S&P 500의 수익률을 보자.

40년 동안 9번의 마이너스 수익률 기록

연평균 11.6%의 수익 기록

나스닥 100과 마찬가지로 마이너스 수익을 기록한 해는 동일하지만

1994, 2015년에 추가로 마이너스를 기록하였다.

 

 

 

24년도에는 필기만 합격했고, 실기는 한번 떨어졌다.

이 후 일이 바쁘다는 핑계로 공부를 안했는데 올해는 실기 공부를 해야겠다.

 

꼭 합격해서 내가 원하는 인생을 살자!

 

구분 필기원서접수 필기시험 필기합격 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실기합격 발표
2025년 정기 기사 1회 2025.01.13
~
2025.01.16

(빈자리접수) 
2025.02.01
~
2025.02.02
2025.02.07
~
2025.03.04
2025.03.12 2025.03.24
~
2025.03.27
2025.04.19
~
2025.05.09
2025.06.13
2025년 정기 기사 2회 2025.04.14
~
2025.04.17
2025.05.10
~
2025.05.30
2025.06.11 2025.06.23
~
2025.06.26
2025.07.19
~
2025.08.06
2025.09.12
2025년 정기 기사 3회 2025.07.21
~
2025.07.24
2025.08.09
~
2025.09.01
2025.09.10 2025.09.22
~
2025.09.25
2025.11.01
~
2025.11.21
2025.12.24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내가 태어난 1월

우리나라는 가장 추운 최한월이다.

나는 겨울에 태어나서 그런지

어렸을 때부터 지금까지

더운 날씨를 못견뎌했고

더운 날씨보다 추운 날씨에 훨씬 강했다.

물론,

적당한 봄과 가을 날씨를 제일 좋아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2020년 이후로 무더위가 지독해지기 시작했고,

정말 나에겐 여름이 생존의 계절이 되어버렸다.

정말 지구온난화가 심각하다는걸 체감하게되었다.

2023년, 2024년은 그 중에서도 최악이었다.

2023년부터 11월까지 반팔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33년을 살며, 처음보는 광경이었고

여름은 너무 습하고 무더위는 9월, 10월까지 한 여름과 같았다.

그래서 오늘은 내가 태어난 이후

우리나라 서울의 1월의 평균기온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평균 기온이 어느정도 상승 추세일까.

기상청 과거자료를 참고하였다.

 

 

 

 

년도 평균기온 순위 평균기온(℃) 평균최저기온(℃) 평균최고기온(℃)
1992년 4등 -0.2 -3.4 3.4
1993년 17등 -1.9 -5.5 1.9
1994년 9등 -0.9 -4.7 3.1
1995년 19등 -2.1 -5.7 1.8
1996년 21등 -2.2 -5.6 2.3
1997년 28등 -3.3 -7.1 1.2
1998년 12등 -1.3 -4.7 2.8
1999년 8등 -0.8 -4.7 3.5
2000년 19등 -2.1 -5.7 1.7
2001년 31등 -4.1 -7.8 -0.8
2002년 3등 0.3 -2.9 3.9
2003년 24등 -2.5 -5.8 1.1
2004년 13등 -1.5 -4.9 2.1
2005년 24등 -2.5 -6.2 1.5
2006년 4등 -0.2 -3.3 3.4
2007년 2등 0.4 -2.8 4.1
2008년 15등 -1.7 -5 1.9
2009년 18등 -2 -5.5 2.3
2010년 32등 -4.5 -8.1 -0.7
2011년 33등 -7.2 -10.5 -3.4
2012년 26등 -2.8 -6.3 1.3
2013년 29등 -3.4 -6.6 0.3
2014년 7등 -0.7 -4.9 3.5
2015년 9등 -0.9 -4.8 3.6
2016년 27등 -3.2 -6.8 1.1
2017년 16등 -1.8 -5.8 2.9
2018년 30등 -4 -7.3 0.1
2019년 9등 -0.9 -5.1 4.1
2020년 1등 1.6 -1.7 5.9
2021년 23등 -2.4 -6.8 2.2
2022년 21등 -2.2 -6.2 2.6
2023년 13등 -1.5 -5.7 3.2
2024년 6등 -0.5 -3.9 3.6

 

아무쪼록 정치인들, 우리 개인들이 환경에 더 관심갖고 살기좋은 지구를 만들어 나갔으면 좋겠다.

화성 같은데 가서 살 생각하지 말고 그 돈과 기술로 이미 살기 좋은 지구를 다시 살리는 노력을 먼저 하는게 맞지 않을까?

+ Recent posts